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중국 보고있나”···지안서 '제2의 광개토태왕비' 발견

'제2의 광개토태왕비'



"시조 추모왕이 나라를 창건하니라."

고구려의 위대한 기상을 담은 광개토태왕비의 축소판으로 추정되는 비석이 발견돼 국내 고고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한국고대사 전공자들인 윤용구 박사와 여호규 한국외대 교수는 "중국 국가문물국(문화재청에 해당)이 발행하는 '중국문물보'가 4일자 기사에서 고구려 비석 발견 소식을 보도했다"면서 "이번 발견은 고구려사를 비롯한 한국고대사학계의 획기적인 발견"이라고 말했다.

'중국문물보' 보도에 따르면 이 비석은 지안시 마셴향 마셴촌 한 주민이 지난해 7월29일 마셴강(河) 가에서 발견해 지안시 문물국에 신고한 것이다. 문물국은 현장에 조사팀을 파견해 비석에 새겨진 글자를 정밀 조사한 결과 고구려 비석임을 확인했다고 중국문물보는 전했다.

비석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결실된 상태로, 현재 크기는 높이 1m73cm, 너비 60.6-66.5cm, 두께 12.5-21cm다. 무게는 464.5kg. 비석 정면에는 예서체로 총 218개 글자를 새겼다.

비석은 총 10행으로, 마지막 10행을 제외하고 행마다 22자를 적었다. 10행에는 20자가 확인된다.

218자 중 판독이 가능한 글자는 140자.

비문은 광개토태왕비 비문을 압축한 듯한 느낌을 준다.

첫머리에는 "시조 추모왕이 나라를 창건하니라"(始祖鄒牟王之創基也) "하백의 손자"(河伯之孫), 그리고 그런 추모가 "나라를 일으켜 (왕위가) 후대로 전해졌다"는 구절 등이 보인다.

이어 "'연호(烟戶)'를 배치해서 사시(四時)로 제사에 대비케 하고" "부유한 자들이 (묘를 관리하는 사람들인) 수묘인(守墓人)들을 함부로 사고팔 수 없다"는 구절 등이 발견된다.

비문에 보이는 연호(烟戶)는 보통 인가(人家), 민호(民戶) 등으로 학계에서는 본다.

이와 같은 내용은 결국 광개토태왕비 비문을 압축한 것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이번에 발견된 비석 또한 광개토태왕의 아들인 장수왕이 역대 고구려 왕가의 공동묘지인 지금의 지안시 우산하 고분군 앞에다가 광개토태왕비를 건립하면서, 또 다른 왕가의 공동묘지인 지금의 마선구 고분군 앞에다가 그 축소판으로 세웠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용구 박사는 "광개토태왕비가 종합안내판이라면, 이번 비석은 그 미니어처라 볼 수 있다"며 "광개토태왕비가 고구려 선대왕릉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를 규정한 헌장이나 헌법에 해당한다면, 이번에 발견된 비석은 그것과 관련해서 개별 능묘를 어떻게 관리했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제2의 광개토태왕비'가 발견된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 마셴(麻線)향 마셴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