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공동기자회견장에 설치된 취재진의 노트북 등이 북한에 해킹을 당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결국 해프닝으로 끝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관계자는 17일 오전 9시 20분 경 공동기자회견장을 찾아 서울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에서 비공식 브리핑을 통해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이 북한에 해킹당한 흔적을 확인했다"고 했다가 약 1시간여 만에 말을 바꾸었다.
이 관계자는 인수위 미디어지원실 관계자다. 그는 실무 차원의 보안 강화임을 강조하며 취재진에게 "오늘 아침 보안점검팀으로부터 이런 연락을 받았다. 취재진도 바이러스 백신 업데이트, 컴퓨터 프로그램 비밀번호 변경 등 안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북한이 해킹한 근거가 있느냐" "인수위 사무실이 설치된 별관도 해킹 됐느냐" 등 구체적인 질문에는 대답을 피했다.
그는 다만 "인수위 사무실 컴퓨터 등은 기자실과 다른 보안체계를 갖췄기 때문에 해킹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자세한 사안은 오후 책임자가 브리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가 "브리핑이 아니다. 실무적 차원의 보안 당부 차원"이라고 강조하는 와중에 회견장에 설치된 대형 TV화면의 한 보도전문 채널에서는 이미 "인수위 기자실 북한 해킹 흔적 포착" 등의 자막 뉴스가 전해지고 있었다.
이 관계자는 "공식 브리핑이 아니었다. 마이크에 대고 말 할만한 사안이 아니었다"고 당황해하며 자리를 빠져 나갔다.
이어 10시 59분께 이 관계자는 재차 공동기자회견장을 찾아 오전 말을 번복했다. 그는 "인수위 기자실은 KT에서 인터넷선을 바로 끌어와서 쓰기 때문에 보안당국이 점검했을 때 해킹 노출 위험 수위가 높다"며 "인수위는 보안상 컴퓨터를 두 대 쓰고 있는데, 인수위와 구조가 달라 해킹에 대비하라는 뜻이었다"고 앞선 발언을 정정했다.
북한의 해킹 시도 및 해킹 흔적 포착 등 발언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에서 잘못 전달된 것 같다"며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었다"고 말을 바꿨다.
이날 '북한의 인수위 취재진 해킹설'은 해프닝으로 끝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해프닝의 원인은 취재진의 접근을 극도로 막는 인수위의 불통 관습도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취재진이 인수위 보안 담당자 등에 대한 추가 취재가 자유로웠다면 이런 해프닝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취재진의 속보 경쟁도 '북한을 해킹 주범'으로 만든 해프닝의 한 단면으로 지적됐다.
인수위는 이날 오후 인수위 해킹 시도 의혹에 대한 브리핑을 할 예정이다.
/김유리기자 grass100@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