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오전 5년간의 임기에 대해 술회하며 퇴임 일성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퇴임 연설을 통해 "현 정부 5년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역사에 맡기겠다"며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갈 것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도덕적으로 흠결이 없는 정부를 간절히 바랐지만 주변의 일로 국민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는 "5년간 국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생각을 달리하고 불편했던 분들도 계셨을 것"이라며 "옳고 그름을 더나 국정의 책임을 내려놓는 이 시점에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특히 천안함 폭침 사건과 관련 "가슴 깊이 안고 가야 할 아픔도 있었다"면서 "언젠가 통일이 되는 바로 그날, 저는 이들의 이름을 다시 한번 한 사람, 한 사람 부르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성과에 대한 방점도 찍었다.
그는 "분명한 점은 더 이상 대한민국의 변방의 작은 나라가 아닌 세계의 중심국가가 됐으며 앞으로도 더 나아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퇴임 이후에 대해서는 "대통령으로서의 의무가 끝나지만 국민행복을 위해 명예로운 의무를 계속 할 것"이라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우리가 사랑하는 조국을 위해 작은 일이라도 봉사살 수 있는 일이 있으면 기꺼이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꽃피는 계절이 오면 4대강변을 따라 자전거를 타고 우리 강산을 한번 둘러보고 싶다"고 말했다.
차기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응원의 메시지도 남겼다.
이 대통령은 "온 국민과 함께 박근혜 당선인과 새 정부에 따뜻한 축복을 보낸다"며 "새 정부가 '더 큰 대한민국'과 '행복한 국민'을 향한 큰길을 열어갈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대한 국민과 더불어 즐거워하고, 함께 아파하고, 함께 일할 수 있었던 지난 5년은 제 인생에서 가장 힘든 시간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가장 보람되고 영광된 시기였다"고 총평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현 정부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오전 8시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함께 한 기간 행복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임기 동안 276회의 국무회의를 매주 주재했으며 9607개의 안건을 처리했다.
취임 전부터 현장을 중시한 업무스타일을 강조한 만큼 하루 평균 483㎞를 이동하며 국정을 운영했다.
49차례의 해외순방을 통해 84개국, 110개 지역을 방문했으며 3842회의 국빈을 맞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