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세상의 패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양국 모두 상대방에게 해킹 당했다고 주장하면서 '해킹전쟁'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이다.
AP통신은 미 정부가 중국 등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에 벌금 부과, 교역 제한 등의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사이버공격에 더욱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압박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앞서 미 컴퓨터 보안업체 맨디언트는 중국발 해킹 공격의 증거를 추적한 결과, '유닛 61398'로 불리는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가 진원지로 드러났다고 주장한 바 있다. 사실이라면 중국군 고위층의 승인으로 이뤄진 공격임을 뒷받침하는 셈이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 국토안보부 장관을 지낸 마이클 처토프는 "언젠가는 이 문제와 관련해 중국을 공개적으로 불러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애플의 일부 직원 컴퓨터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익명의 소식통은 이번에 애플을 공격한 악성코드가 최근 페이스북을 포함해 미국 내 주요 IT업체들을 공격한 것과 같은 악성코드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사이버 공격으로 전력망, 수도 시설, 금융기관 등이 마비되는 공황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 훙레이 대변인은 "중국은 해킹 행위에 대해 단호히 반대하며 관련 법령과 규정을 제정해왔고, 온라인 해커들을 엄단하고 있다"며 "오히려 미국 해커들에게 자국 사이트들이 공격당해 해커들에게 이용당했다"고 되받아쳤다.
훙 대변인은 이어 중국이 지난해 7만3000개의 해외 IP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이 가운데 미국에서 온 것이 가장 많았다는 통계 수치까지 제시했다.
한편 이날 블룸버그는 최근 애플,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40여개 미국 업체에 대한 해커 공격은 중국이 아닌 동유럽해커집단의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