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는 언제부터 해야 할까요."
취업난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이같은 질문을 하는 구직자들이 많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지만 학과 공부는 물론 등록금까지 마련해야 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 1학년 때부터 취업에 매달리기가 쉽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취업포털 커리어의 도움을 받아 장단기 계획에 따른 맞춤형 취업 전략을 알아본다.
◆적성부터 파악해야=취업 준비의 첫걸음은 적성파악이다. 적성에 따라 맞춤식 준비를 해야 취업 성공에 한걸음 빨리 다가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극적이고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영업·마케팅 분야가 적합하고 주어진 일에 충실한 사람이라면 금융이나 회계 직종을 노리는 것이 유리하다. 또 독특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기획자나 방송인이 적합하다. 커리어 홈페이지(www.career.co.kr)의 직업성향 진단검사를 이용하거나 학생생활연구소를 방문하면 적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필요한 능력 갖춰라=적성을 파악했다면 그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춰야 한다.
특히 컴퓨터 활용능력이나 외국어 회화능력은 하루아침에 갖출 수 없기 때문에 대학 1학년 때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다. 대기업 입사를 원한다면 토익점수나 영어회화 능력도 미리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격증 준비도 맞춤형으로=자격증이 강력한 취업무기로 떠오르면서 필요없는 자격증까지 취득하려는 구직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돈과 시간만 낭비하고 정작 취업에는 도움되지 않은 자격증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일단 등록민간자격보다는 국가기술자격이나 공인민간자격 중에서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 산업인력공단(www.q-net.or.kr) 등을 참조하면 원하는 직업에 필요한 자격증을 파악할 수 있다.
◆틈틈이 경험도 쌓아야=요즘 취업 대세는 '올드루키'(경험을 쌓은후 재도전하는 신입)다. 그만큼 원하는 분야의 경험은 취업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 파악한 적성에 맞춰 동아리 활동, 배낭여행, 아르바이트는 물론 인턴십도 도전하는 것이 좋다. 단 모든 것을 한꺼번에 하려고 하지 말고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차근차근 성취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