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다 읽어서 쓸모없어진 전자책을 중고로 판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미 아마존과 애플이 관련 특허를 내놓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점차 사라져가는 헌책방이 전자책을 다루는 형태로 부활할 조짐이라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자책은 종이책보다 가격이 싸고 갖고 다니기 쉬워 각광받아왔지만 '재활용' 방법이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한번 구매한 전자책은 DRM(디지털저작권관리) 방식으로 보안이 걸린 데다 사용자가 임의로 기기에서 추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런 불편함은 전자책의 발달에도 종이책이 버틸 수 있는 여건이 됐다.
하지만 아마존은 지난 1월말 전자책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디지털 기반 제품을 서로 교환하는 시장을 만들 수 있는 특허권을 따냈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더 낮은 가격에 중고 전자책을 보급하고 아마존은 이 시장을 통해 수수료 수익을 얻겠다는 전략이다.
애플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최근 미국 특허상표청에 전자책 등 디지털 기반 제품 전용시장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 애플이 구상하는 시장은 소비자들이 전자책, 음원, 영화 등을 내려받기 또는 복제하지 않고 파일 형태로 매매하는 방식이다. 한 제품에 대해 한 사람이 꼭 한 번의 복사 권한을 갖는다는 게 특징이다. 이를 통해 이미 사용한 전자책 등의 콘텐츠를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뉴욕타임즈는 "아마존과 애플의 시도가 출판·미디어업계에는 엄청난 타격이 될 수 있다"며 "헌책이 아주 싼 값에 팔리듯이 전자책 중고시장이 활성화하면 작가들은 작품들이 또다시 헐값에 매매되는 수모를 겪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