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을 중심으로 끼와 열정을 평가하는 채용파격이 확산되고 있다.
인성·적성 검사를 폐지하는가 하면 원서에 지원자 사진 난을 없애는 기업까지 등장했다. 기존과 같이 학벌·학점·토익 등 스펙에만 매달려서는 취업하기 점점 힘들어 진다는 이야기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의 황은희·박수정 컨설턴트에게 채용파격 확산에 따른 대응노하우를 알아본다.
◆선택의 폭을 좁혀라=채용전형이 갈수록 다양화하면서 '닥치는 대로 지원하고 보자'는 안일한 생각으로는 더 이상 취업에 성공하기 힘들다. 스스로 능력과 여건에 맞는 기업군을 선택해 맞춤형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우선 자신의 장점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채용 프로세스를 갖춘 기업을 꼼꼼히 타져봐야 한다. 해당 기업들의 주력 산업, 사업 내용, 최신 뉴스 등을 챙겨야 하는 것도 물론이다.
◆면접에 집중하라=서류전형보다 면접비중을 높이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남부럽지 않은 스펙을 쌓았더라도 면접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면 취업에 성공하기 힘들어진 셈이다. 반면 스펙이 다소 부족한 구직자들에게는 면접을 통해 자신의 숨은 능력을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에따라 모의면접에 참가하거나 취업스터디를 통해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이 때 자신의 면접모습을 동영상으로 찍어 상세히 모니터링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실패 경험도 자랑하라=면접 등에서 '실패한 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으면 난색을 표하는 구직자가 많다. 요즘 기업들은 단순한 스펙보다는 실패를 포함한 풍부한 경험을 지닌 구직자들을 원한다. 따라서 거창하진 않더라도 실패를 극복한 과정과 이를 통해 배운 경험 등을 솔직히 이야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문학 공부도 틈틈이=인문학 열풍이 국내 기업들에게도 확산되고 있다. 인문학에 관한 고민·경험, 자아성찰 등을 면접 질문으로 채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이야기다.
구직자들은 책과 신문 등을 통해 관련 지식을 쌓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또 스스로의 경험을 인문적으로 맛깔나게 답변할 수 있는 연습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