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가 결국 국가부도 사태를 맞을까.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규모인 170억 유로의 구제금융을 요청했지만 키프로스 의회가 구제금융 협상안 비준을 부결하면서 이같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아나스타시아데스 키프로스 대통령이 구제금융 비준안이 부결될 때 대비해 마련했다는 이른바 '플랜B'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AP 등 외신들은 유럽중앙은행(ECB)이 구제금융 비준안이 부결된 직후 "현행 규정에 따라 유동성 공급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유로화가 실제로 원활히 공급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영국 정부는 키프로스에 주둔하는 영국 군인과 공무원이 유로화 부족에 직면할 수 있다고 보고 군용기에 100만 유로의 현금을 실어 공수하기도 했다.
유동성 공급이 원활하다고 전제할 때 키프로스 의회의 구제금융안 비준 거부는 유로그룹(유로화 사용 17개국 재무장관 회의체)과 키프로스 정부가 구제금융안을 재협상하라는 강력한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정황은 아나스타시아데스 대통령도 한 TV와 인터뷰에서 "예금 과세안이 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며 "부결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힌 점에서도 포착된다.
구제금융 협상안이 의회에서 부결될 것을 예상했거나 방조한 채 일찌감치 재협상을 염두에 뒀던 게 아니냐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들은 아나스타시아데스 대통령이 마련했다는 이른바 '플랜B'는 ▲ 모든 사회 보장 기금의 국유화 ▲ EU와 러시아 정부 등이 참여하는 국영 자산회사 설립 등을 포함한다고 현 전했다.
만약 이런 내용이 담겨 있다면 이는 대책이라기보다는 '질서있는 디폴트'로 봐야 한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키프로스가 '플랜B'를 배수의 진으로 치고 재협상을 시도하더라도 타결짓지 못한다면 끝내 '무질서한 디폴트' 또는 '국가부도' 사태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