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발 먹구름'이 또다시 전 세계 금융시장을 덮칠 조짐이다.
키프로스 정부가 재협상을 염두에 두고 방조했다는 의혹 속에 실제로 키프로스 의회가 구제금융 협상안의 비준을 거부하면서 결국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키프로스 의회는 19일(현지시간) 오후 임시회의를 열고 구제금융 협상 비준안을 표결해 반대 36표, 기권 19표로 부결했다. 은행 예금에 세금을 매기는 유례없는 구제금융안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자 정부가 서둘러 예금 잔액 2만 유로 이하는 면세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이날 제출했지만 찬성표를 한 표도 얻지 못했다.
키프로스 의회 의사당 앞에 모인 수백 명의 시위대는 협상안 부결 소식에 환호하며 국가를 제창하기도 했다.
하지만 새로운 재원 조달 방안을 못하거나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과 구제금융 재협상마저 실패하면 키프로스는 디폴트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니코스 아나스타시아데스 키프로스 대통령이 구제금융 비준안이 부결될 때 대비해 마련했다는 이른바 '플랜B'도 사실상 '질서있는 디폴트'로 봐야 한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현지 언론들은 '플랜B'가 ▲모든 사회 보장 기금의 국유화 ▲EU와 러시아 정부 등이 참여하는 국영 자산회사 설립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단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은 디폴트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키프로스에서 '유로존 탈퇴' 또는 '부채 상환 중단' 등 극단적인 주장이 나오지 않는데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동성 공급을 지속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로존 경제의 주도국인 독일과 이번 사태로 돈이 묶인 러시아 간의 힘겨루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분위기여서 사태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