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이후 국내 증시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데도 '투자주의종목' 지정이 1000건을 넘은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형주가 시장을 이끌고 각종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에 투기·작전 세력이 여전히 활개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투자주의종목 지정은 유가증권시장 696건, 코스닥시장 329건으로 총 1025건(중복 포함)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83건, 코스닥시장 307건과 비교하면 각각 738.6%, 7.2% 증가했다.
한 단계 위 경보 조치인 투자경고종목 지정은 올해 41건으로 지난해 동기(45건)와 비슷한 수준이다. 최고 상위 조치인 투자위험종목 지정은 써니전자만 두 차례 있었다.
거래가 정지되는 종목도 많아졌다. 현재 매매거래정지 종목이 51개에 달했다. 유가증권시장 26개, 코스닥시장 25개다. 네오퍼플, 디에스, 에듀언스, 자유투어 등 코스닥시장 11개 종목은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고 쌍용건설 등 코스닥시장 5개 종목은 투자자보호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매매가 정지됐다. 최근 결산 기간을 맞아 롯데관광개발 등은 감사의견거절이 나오면서 매매가 정지됐다.
증시 전문가들은 그간 소외됐던 중소형주의 거침없는 상승이 투자주의종목 증가에 한몫했다고 보고 있다. 올해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형주는 5.45% 하락했다. 반면 중형주는 2.90% 올랐고 소형주 역시 6.92% 상승했다. 코스닥지수가 9.89% 상승하는 동안 코스피는 4.05% 떨어졌다.
대선 이후 정책수혜주, 정치인 테마주 등 각종 테마주가 난립한 것도 투자주의종목이 늘어난 원인으로 꼽힌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투자주의종목 지정 등이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라며 "주가조작 세력이 솜방망이 처벌을 받는 것이 문제인 만큼 과징금 등 주가조작범에 실질적 피해를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