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등록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등록금을 올리지 못한 대학들이 편법 학사 운영으로 비용을 절감하려 해 눈총을 사고 있다.
1일 대학가에 따르면 수업 일수를 학기당 16주에서 법정 최소 일수인 15주로 축소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다. 이들 대학의 경우 중간·기말고사 기간을 제외하면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는 기간은 사실상 13주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난해 '등록금 상한제'에 따라 등록금 인상률을 4.7% 미만으로 억제했다. 정부 방침에 미온적인 대학에는 정원 감축이나 지원사업 평가에서 불이익을 주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등록금을 평균 0.5%씩 찔끔 내렸다. 총액으로 따지면 2만~3만원 수준이다.
수업 일수가 1주일 줄어든 A대학 재학생 최모(23)씨는 "학기 초 수업방식과 강의 방향 등을 논의하는 시간과 시험기간을 빼면 실제 완전한 수업이 이뤄지는 시간은 10주 남짓"이라고 말했다.
한 사립대 기획처장은 "대학의 구조조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학사 일정을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B대학은 은근슬쩍 계절학기 등록금을 올렸다. 계절학기는 '등록금 상한제'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복수전공 학생이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계절학기를 들어야 하는 경우 학점당 3만5000원에서 11만원의 추가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교양과목의 통폐합이 이어지면서 대형 강의실에 수백명씩 몰리는 '콩나물 시루 강의'도 줄을 잇고 있다. C대학은 최근 박사학위가 없는 시간강사의 과목을 대거 감축해 마찰을 빚었다. 이 대학 전임강사 허모(43)씨는 "대학들이 자구 노력보다 효율성만 강조하다 보니 정작 교육의 질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학부 등록금을 인상하지 못한 D, E대학은 대학원 등록금을 2.5% 인상하기로 했다가 반발이 거세자 각각 1.5%, 2%로 인상폭을 낮추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