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하고 있다.
앱 사용이 늘면서 컴퓨터로 접하던 포털 사이트의 이용이 급격히 줄고 있다.
28일 인터넷시장조사기관인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국내 1∼3위의 포털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의 월별 순 방문자(UV), 페이지 뷰(PV), 평균 체류시간은 모바일 웹 서비스와 전용 앱이 나오기 전보다 크게 하락했다.
3월 컴퓨터로 네이버를 방문한 사람이 둘러본 전체 페이지 뷰는 189억8000만 쪽으로 네이버 모바일 웹서비스와 스마트폰 앱 등장 직전인 2009년 5월의 242억6000만 쪽보다 21.8% 감소했다.
네이버는 2009년 6월 모바일 웹 서비스를, 2010년 10월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
포털에 접속한 이용자 한 사람이 머무는 시간도 같은 기간 평균 405분에서 313분으로 22.6% 감소했다.
네이버와 달리 2위와 3위인 다음과 네이트는 월별 순방문자도 줄었다. 포털의 인지도가 낮을수록 컴퓨터로 접속하는 방문객이 더 빨리 사라진 셈이다.
2008년 8월 모바일 웹 서비스를 하고 2010년 4월 앱을 출시한 다음은 올해 3월 2795만명이 순 방문해 2008년 7월의 2943만명보다 5.0% 감소했다.
같은 기간 페이지 뷰는 204억7000만 쪽에서 113억2000만 쪽으로 44.7%, 평균 체류시간은 341분에서 215분으로 36.9% 줄었다.
네이트는 모바일 웹 서비스와 앱 출시 직전인 2010년 5월 순방문자가 2500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3월까지 37.8% 줄어 1556만명으로 감소했다.
포털업체 관계자는 "순방문자보다 페이지 뷰의 감소폭이 큰 것은 포털을 많이 활용하는 사람일수록 컴퓨터 접속에서 더 빨리 이탈했다는 의미"라면서 "포털의 활용이 컴퓨터 기반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