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무더위 코앞인데…어이없는 블랙아웃 공포

'올여름을 무사히 보낼 수 있을까.'

지난 2011년 9월 15일 온 국민을 암흑으로 몰아넣었던 '블랙아웃(대정전)'의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다. 전체 원전 23기 중 10기가 동시에 가동을 멈추는 사상 초유의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중 6기는 검증서를 위조한 불량 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때 이른 무더위에 신음하고 있는 국민들을 '멘붕'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과 박윤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은 28일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에서 대언론 브리핑을 열고 "'냉각재 상실 사고(Loss of Coolant Accident)' 시험을 실시한 해외 기관이 발행한 성적표를 국내 시험기관 담당직원이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신고리 1·2·3·4호기와 신월성 1·2호기 원자로에 시험성적표가 위조된 부품이 사용된 사실이 확인돼 가동·재가동 일정 연기가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으로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의 가동이 이날 중단됨에 따라 전국 원전 23기 중 신고리 1호기, 고리 1·2호기, 한빛(옛 영광) 3호기, 월성 1·2호기, 한울(옛 울진) 4·5호기를 포함해 10기가 발전을 할 수 없는 상태다. 설비 용량으로 따지면 원전 2071만㎾ 중 771만6000㎾를 가동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지된 원전은 빨라야 9월 말 이후에나 정상 가동될 예정이어서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이번 여름 전력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진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당장 6월부터 공급 차질로 수급 비상 상황이 발령될 가능성이 높고 8월에는 매우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기적으로 공급을 대폭 보완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당한 수요 감축을 통해 수급 위기를 헤쳐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산업부는 9월 말까지를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기업체를 중심으로 휴가 분산, 조업 조정 등을 강력히 시행하는 한편 에너지 과소비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기술, 케이블 공급업체, 국내 시험기관 등 서류 위조에 관련된 기관의 관련자에 대해 형사고발과 손해배상 청구 등 가능한 민·형사상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독일의 원전 안전성 점검 전문기관에 의뢰해 7월 26일까지 국내 모든 원전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원전 사고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사태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직장인 박재홍(42)씨는 "대정전을 빌미로 지난해 전기요금을 잔뜩 올려놓고선 또다시 이런 일을 벌이다니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며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한 이런 비리를 겨우 파면 정도로 무마했다가는 더 큰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