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만 버는 아르바이트는 이제 그만. 취업까지 노려야 '알바의 완성'."
최근 구직자 사이에서 이런 이야기가 회자되고 있다. '어떤 알바 경험이 있는가' '알바에서 어떤 걸 배웠나' 등 아르바이트 관련 질문이 면접의 성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취업포털 커리어의 도움을 받아 직무별 채용문을 활짝 열어주는 아르바이트를 알아본다.
◆행정·사무직을 노린다면=대기업과 관공서 아르바이트가 제격이다. 조직생활을 미리 해볼 수 있고 다양한 업무 체험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입사 지원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현재 서울시청을 비롯해 강북·은평·광진구청 등 대부분의 시·구청 공공기관들이 하계 방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아르바이트를 모집 중이다. 대기업 아르바이트를 노린다면 현재 LG전자, 삼성 등에서 진행 중인 사무보조 아르바이트에 지원해보는 것도 좋다.
◆해외 업무직을 희망한다면=외국인을 접할 수 있거나 외국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외국계 기업 아르바이트를 노리는 것이 현명하다. 보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 경쟁률이 치열하다는 점은 미리 감안해야 한다.
자격 요건도 까다롭다. 상급 수준의 회화, 작문 능력이 필요한 곳이 많고 단순한 사무보조일지라도 엑셀·파워포인트 등 오피스 프로그램은 다룰 줄 알아야 한다. 모집 공고를 꼼꼼히 살펴본 뒤 자신에게 맞는 우대조건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IT·디자인 직무를 원한다면=향후 취업을 희망하는 직무에 맞춰 아르바이트를 찾는 현명함이 필요하다. 업무의 이름이나 규모만 볼 것이 아니라 채용공모에 나온 직무내용을 꼼꼼히 살펴보고 경력에 도움 되는 곳에 지원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아르바이트에 지원할 경우 이력서뿐 아니라 공모전 입상 경력이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등을 함께 제출하면 유리할 수 있다.
◆전문 서비스직에 도전한다면=레스토랑·편의점·영화관 등 전문 서비스직의 경우에는 정규직 전환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다. 아르바이트를 지원하면서부터 관련 분야 취업을 희망한다는 포부를 확실히 어필해 두는 것이 좋다.
사무직 등에 비해 체력적인 소모가 많다는 것은 단점으로 꼽힐 수 있지만 고객을 응대하는 서비스 마인드의 소유자나 위기관리 능력을 갖춘 인재라면 도전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