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고령화의 늪으로 점점 빠져들고 있다.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이 30년 새 반토막 나면서 일터에서 젊은 층이 점점 사라지는 중이다. 한때 희망을 주던 고졸채용까지 시들해지면서 취업·연애·출산을 포기하는 '삼포세대'에서 일자리·소득·집·연애(결혼)·아이·미래(희망)가 없는 '육무세대'로 악화되고 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중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382만6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2539만8000명 중 15.1%를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처음으로 작성되기 시작한 1983년 5월의 31.5%(1530만8000명 중 482만8000명)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고용률도 마찬가지다. 5월 중 15~29세의 고용률은 40.1%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는 최근 30년래 고점인 1995년 5월의 46.9%에 비해 6.8%포인트 낮다.
더 문제는 인구비중보다 취업비중의 하강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청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80년 30.4%에서 2010년 20.9%로 9.5% 포인트 낮아지는 동안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의 비중(31.5%→16.6%)은 14.9% 포인트 감소했다.
게다가 청년층 상당수가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되고 있어 실상은 더욱 심각하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에게 제대로 된 일자리가 제공되지 않아 이같은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가 어려우면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숙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을 고용하는 것이 투자 비용을 아끼는 방법이기 때문에 청년 고용을 점차 줄이게 된다"며 "당분간 청년 실업률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젠 기업에게만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주문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정책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한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MB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고졸채용도 현정부에 접어들면서 점점 시들해지고 있다"며 "삼포세대를 넘어 육무세대로 접어들었다는 젊은이들의 한탄을 해소할 수 있도록 청년 고용 할당제 등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