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신간도서] 사랑은 왜 아픈가

인문



◆사랑은 왜 아픈가

에바 일루즈/돌베개

여성 사회학자이자 감정사회학의 대가인 저자가 현대 이후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상품화, 자본화 코드에 맞물려 남녀로 분열된 사랑의 모습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서 사랑의 본질을 묻는다.

밤의 인문학



◆ 밤의 인문학

밥장/앨리스

일러스트레이터 밥장이 맥주에 취해 읽은 책과 나눈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서울 신촌의 단골 술집 더빠에서 열리는 '수요밥장무대'를 글과 그림으로 옮긴 것으로 글로 사람을 만나게 해주는 인문의 바다에서 마음껏 허우적거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맥주·외로움·여행·연애·인간관계 등 도시남녀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미했을 주제들을 다뤘다.



◆나는 좀비를 만났다

웨이드 데이비스/메디치

TED 강연에서 1000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한 민속식물학자 웨이드 데이비스가 아이티로 떠나 좀비의 기원을 추적했다. 인류학·과학·역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좀비 이야기를 생동감 넘치게 풀어냈다.



◆중국화 하는 일본

요나하 준/페이퍼로드

일본이 아시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서구화 됐다는 해석 대신, 1000년 전 송나라 시기에 이미 중국이 전반적으로 근대화를 성취했다는 시각에서 동아시아 역사를 재조명한다.

에세이

웬만해선 그녀의 컴플레인을 막을 수 없다



◆ 웬만해선 그녀의 컴플레인을 막을 수 없다

김지영/중앙m&b

부당한 기업의 횡포에 대처하는 '밀당'의 기술이 다채롭다. 백화점 세일에서 통신사 요금 체계와 개인 정보 유출 문제까지 소심한 소비자를 우롱하는 기업의 횡포에 참지 않고 끝까지 따지고 추궁해, 단돈 '68원'이라도 받아내는 열혈 컴플레이너의 예측 불허 투쟁기이다. 기업의 횡포에 침묵하며 참는 게 아니라고 당당히 말하며 제대로 된 소비자의 권리를 묻는다.

건축

다시, 관계의 집으로



◆ 다시, 관계의 집으로

최우용/궁리

건축사 사무실에서 일하는 저자 최우용은 경산 상엿집, 기찻길 옆 공부방 등을 둘러보며 주로 잊혀지거나 사라지고, 구석과 변방에 놓인 건축물들에 주목했다. '건축이 세상과 소통하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하여'라는 부제처럼 건축이 세상과 소통하는 다섯 가지 시선이 등장한다. 몽상가·관찰자·소설가·여행객·건축가 등으로 집과 공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건강

건강할 권리



◆ 건강할 권리

김창엽/후마니타스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창엽 교수가 사회의학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의료 현실을 분석하고 진단한 글을 엮었다. 건강문제를 생물학적 현상으로만 바라보고 기술과학적 문제로 치부해 버린 채 예방과 관리, 치료를 환자 개인과 전문가 의사의 일로만 돌리던 기존의 생의학적 모형을 비판하면서 사회적·정치적·경제적 관점에서 한국 사회 건강 불평등의 현실을 분석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