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곤 연세사랑병원장(왼쪽)과 산악인 엄홍길 대장
경제적 사정으로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를 받지 못 했던 저소득층 환자들을 위한 후원 캠페인이 진행된다. 엄홍길휴먼재단(이사장 이재후)은 연세사랑병원(병원장 고용곤)과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카티스템) 후원 협약을 최근 체결했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이란 무릎 관절 내 위치한 연골이 손상돼 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연골은 신경세포가 없어 손상이 심해져도 통증을 느끼기 어렵다. 현재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인공관절 수술과 줄기세포 치료 등이 있다.
인공관절 수술은 연골 대부분이 손상되었을 때인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에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본래 자신의 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줄기세포 치료는 무릎 퇴행성관절염 초~중기에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연골의 재생을 골자로 한다. 아직 어린 줄기세포를 연골 병변에 주입해 연골로 분화하게끔 만드는 방법으로 줄기세포 치료에 이용되는 줄기세포는 성인의 골수나 제대혈(탯줄 혈액), 지방 등에서 채취할 수 있다. 줄기세포 치료는 인공관절 수술을 받을 정도는 아니지만 마땅한 치료법이 없어 통증을 감수해야 했던 초·중기 관절염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 소외계층에 희망 전달 파트너 '엄홍길휴먼재단·연세사랑병원'
엄홍길휴먼재단은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연세사랑병원과 카티스템 후원 협약을 체결했다. 엄홍길휴먼재단은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 대상자 접수를 담당, 파트너 연세사랑병원은 의료서비스를 후원한다. 후원 대상자는 저소득층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다.
산악인 엄홍길 대장이 2008년 국내외 청소년 교육 사업과 소외계층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한 엄홍길휴먼재단은 '청소년 희망원정대' 장애인 학생들과 함께하는 '산행' 등 다양한 후원 활동을 전개해왔다.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휴먼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히말라야 현지 주민들을 위한 의료봉사단 파견과 환자를 직접 후송해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히말라야 희망날개' 프로젝트 등이다. 또 네팔 지역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휴먼스쿨' 건립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연세사랑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관절 전문병원으로 '세포치료연구소'를 설립해 무릎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연구의 성과로 연세사랑병원 의료진이 발표한 줄기세포 치료의 연골 재생 효과가 국제 학술지 '더 니(The Knee)'에 게재된 바 있다.
엄홍길휴먼재단 엄홍길 상임이사는 "일부 저소득층 어르신들이 무릎 통증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모습을 볼 때마다 안타까웠다"며 "연세사랑병원과의 이번 후원 협약으로 저소득층 어르신들이 다시 건강한 발걸음을 옳길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권보람 기자
◆ 전화와 인터넷으로 신청 가능
이번 행사는 인터넷과 전화로 신청할 수 있으며 대리인 신청도 가능하다.
전화: 02) 2272-8849 (엄홍길휴먼재단 후원캠페인 담당자)
인터넷 신청: www.uhf.or.kr (엄홍길휴먼재단 홈페이지 접속 후 후원캠페인 팝업창을 통해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