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지배력 남용 비판을 받아온 네이버가 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네이버와 라인 등을 운영하는 NHN은 김상헌 대표를 통해 29일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국내 인터넷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발표회'를 열고 6개의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네이버는 자사 파트너들과 '네이버 서비스 상생협의체'를 구성하고 유관 협회들과 공동으로 '벤처기업 상생협의체(가칭)'를 만들기로 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는 콘텐츠 제휴 사업자 등과의 실질적인 상생을 위해 네이버와 제휴협력 관계에 있는 각 파트너와의 '네이버 서비스 상생협의체'를 구성하고, 발전적 협의를 본격화하기 위한 시작으로 다음달 '만화발전위원회(가칭)'를 먼저 조직한다.
이밖에 벤처기업협회,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등이 상호 협력하여 선발기업과 신생 스타트업 간 '벤처기업 상생협의체(가칭)'도 만든다.
다음으로 네이버는 '서비스 영향 평가 제도'와 '표준계약서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개별 서비스가 이용자 후생과 인터넷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중소 벤처기업들과의 동반 성장에 더욱 힘쓰겠다는 계획이다.
또 포털과 콘텐츠 사업자들의 제휴 계약이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표준계약서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벤처 창업 활성화를 위해 500억 원 규모의 '벤처 창업 지원 펀드'와 역시 500억 원 규모의 '문화 콘텐츠 펀드'도 만든다.
◆ 구체적 청사진 빠진 점 한계
무엇보다 네이버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검색광고 표시를 개선해 이용자들이 '광고'와 '정보'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도 내놓았다.
검색 공정성을 위해 앞으로 네이버 검색 결과 내에서 광고가 더 분명히 구분되고 인식되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네이버는 타 포털사와 협력해 음란물 등 불법 유해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IT 콘텐츠가 해외로 나갈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다만 이날 네이버가 내놓은 지원 대책은 취지는 좋지만 알맹이가 빠졌다는 한계가 있다.
김 대표는 "오늘 발표한 지원 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하지만 방향성은 담겨있다고 본다"면서 "이번 계획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충분한 논의와 실천을 보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