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퇴직연금개혁을 반대하는 파리시민들이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개혁안을 반대하는 봉급자들을 중심으로 4개의 노조가 파리에서 연금개혁 무효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
오는 19일 국무회의에 제출되는 이번 퇴직연금개혁안은 2035년 사회보장제도 지출금 납부를 43세까지 연장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노조 'CGT'의 한 관계자는 "이 개혁안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부당하고 효력이 없는 법안이다"라고 강조했다.
◆민심 얻지 못하는 연금개혁안
개혁안 반대시위는 현재 여론의 지지도 높은편이다. 설문조사기관 'l'Ifop'에 따르면 퇴직을 걱정하는 프랑스인 중 81%가 이 법안에 불만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트로 파리의 설문조사 결과, 61%가 이번 시위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높은 지지율은 과거의 사례로 보아 드문 경우다.
그러나 이번 시위는 봉급 생활자들의 주도가 아닌 노조에 의해 이뤄져 다소 약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엑스-마르세유 대학의 정치학 부교수 밥티스트 지로(Baptiste Giraud)는 "정치환경이 변화했다"며 "대통령의 권력이 컸던 2010년 당시 좌파정당이 사회관계에서 진정제 역할을 했던 것은 현재와 크게 대비된다"고 말했다.
프랑스 국민들이 올랑드 대통령의 이번 개혁안에 대해 체념하고 받아들일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밥티스트 지로 교수는 "이번 개혁안이 좌파정부에 의해 이뤄졌기 때문에 국민들 입장에선 결국 추진될 법안이라는 생각이 크다"라고 덧붙였다.
노조측은 앞으로의 시위에 대해 좀 더 많은 대중이 참여하길 바라고 있으나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 줄리 멘델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