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6일부터 국제전화 과금 폭탄사고와 같은 인터넷전화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인터넷전화 장비 보안 인증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내 인터넷전화 가입자는 올 들어 12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민간에 유통되고 있는 인터넷전화 장비 중 상당수가 최소한의 보안기능도 없는 상태로 출시돼 해커의 공격 대상이 됐다.
인터넷전화 사고의 대부분은 기본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로그관리 등 기초적인 보안기능도 없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원인으로, 실제로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던 기업들이 수백만원에서 수억원에 이르는 요금폭탄을 맞는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미래부와 인터넷진흥원은 국제전화 과금 폭탄사고로 인한 이용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올 초 이용약관을 개정, 국제전화 모니터링 및 차단조치를 의무화한 바 있으며, 보다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 보안 인증 제도를 시행하게 됐다.
이번 인증제도에 포함된 항목을 비밀번호 설정강화, 주요정보 암호화, 네트워크 접근제어 등 40여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국내에서 유통되는 약 500여종의 인터넷전화 교환기 및 단말기가 대상이다. 앞으로 소비자는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을 구매해 사용하면, 안심하고 인터넷전화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과 오승곤 과장은 "이번 인증 제도를 통해 8000억원 규모의 국내 인터넷전화 시장에서 제조사들의 자율적인 보안강화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보안 수준을 한 단계 상승시킬 것"이라며 "중소업체들도 인증 받은 제품을 시장에 출시함으로써 대기업과 동등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