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채 KT 회장(왼쪽)과 정준양 포스코 회장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100여명의 기업인과 재계 인사들이 증인으로 호출된 가운데 이들의 국감 출석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등 각 상임위와 재계에 따르면 국회의원들은 14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진행되는 국감에 정준양 포스코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이석채 KT 회장, 허창수 GS그룹 회장 등 국내 굴지의 기업 총수와 대표이사 등을 호출했다.
하지만 이들 중 과연 얼마나 많은 오너들이 참석할지는 불투명하다. 31일 열리는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 '스카이라이프 대주주의 지위 남용' 등의 이유로 증인 채택된 이석채 회장의 경우 이미 25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르완다에서 열리는 '아프리카 혁신 정상회의' 참석으로 인해 불참 가능성이 유력한 상황이다.
지난해에도 출장을 이유로 불참한 바 있는 정준양 회장의 경우 올해도 불참할지 주목받고 있다. 특히 포스코가 지난달부터 국세청으로부터 특별 세무조사를 받고 있고, 최근 공정위로부터 계열사 공정거래협약 자료 제출에 대한 허위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면서 국감 불참 시 정치권으로부터 낙인찍힐 수 있다는 분위기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 출장이 잦았던 만큼 여전히 해외 출장의 가능성은 남겨놓은 상황이다. 포스코 측은 정 회장의 일정에 대해 확답하지 않고 있다.
신동빈 회장도 국감 출석과 관련해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국감에서 골목상권 침해 논란과 관련, 증인 출석을 요구받았으나 이에 불참해 벌금 1000만원을 선고받은 바 있기 때문이다.
대형 마트·백화점과 중소상인 상생협력 관련 이슈로 증인 신청을 요청받은 신 회장은 이번에도 특별한 사유없이 불참할 경우 상임위 고발시 3년 이하의 징역형마저 선고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정부의 재계에 대한 잇따른 압박도 재계 오너들을 고심하게 하는 부분이다. 한화 김승연 회장, SK 최태원 회장, CJ 이재현 회장 등 재벌 총수에 대한 처벌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예년과 같이 관행처럼 해외로의 도피성 출장이 해답은 아니라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일부 업종의 경우 국내외를 오가며 업무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정치권에서 이를 감안하지 않고 과도한 출석을 요구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해외 기업과의 주요 거래 등으로 인해 재계 오너들이 불가피하게 해외 일정이 잡히는 경우가 있는데 마냥 정치권의 국감 일정에 맞추라는 것은 부당한 것이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