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가 최근 뇌물수수, 갑의 횡포 등 각종 문제로 인해 잇따라 법정에 서고 있다. 사진은 LG유플러스 피해 대리점 모임인 '엘피모' 회원들이 지난달 12일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기자간담회장에 들어서다 경찰의 제지로 무산되는 모습./사진=뉴시스
LG유플러스가 최근 잇따른 악재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2000년대 초반부터 육군 3군 사령부와 일정 기간 전용통신회선을 임대하고 그에 대한 사용료를 받기로 하는 회선임대계약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회선관리팀장 김모 씨는 3군 사령부에서 회선임대 업무를 담당하던 박모 씨에게 "회선이 새로 필요하거나 기존 회선을 확장할 때 LG유플러스를 이용해달라"며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5회에 걸쳐 총 900만원의 뇌물을 건넸다. 이 기간 LG유플러스는 29억7000만원, 월 평균 1억3500만원 상당의 회선임대수익을 올렸다.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자 국방부는 박씨를 군사법원에 넘겨 징역 3년을 선고했고, LG유플러스에 대해 국가계약법을 근거로 3개월간 입찰참가를 제한하는 행정처분을 내렸다.
하지만 LG유플러스 측은 개인 당사자간의 비리라며 소송을 제기했고,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는 지난 1일 LG유플러스가 뇌물 수수로 가장 큰 이익을 본 점 등을 들어 이를 기각했다.
지난달 29일에는 유튜브에 '광대역, 100% LTE 그리고 LTE-A의 진실'이란 동영상이 등장해 논란도 일었다. 미국 HBO의 드라마 '뉴스 룸'을 패러디한 이 동영상은 한글 자막을 통해 8월 말 LTE 주파수 할당 결과와 '100% LTE' 마케팅, '광대역 LTE' 망 설치의 어려움 등을 지적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동영상이 자사 명예를 훼손했다며 해당 네티즌에 대해 법정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LG유플러스가 영상의 내용에만 민감하게 반응하고 정작 서비스개선에 대한 의지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소비자 불만을 틀어막기에 급급할 뿐이라고 비난했다.
가입자 유치를 위한 본사 차원의 무리한 유통 정책도 대리점주들에 막대한 피해를 안기며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LG유플러스 피해 대리점 모임인 '엘피모' 측은 본사의 무리한 유통 정책으로 인해 대리점주들만 1인당 수억에서 많게는 수십억의 빚을 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자살을 선택하는 사람마저 생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엘피모 일부 회원들은 LG유플러스를 상대로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소송을 걸었고, 1심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았다. 이에 LG유플러스는 로펌을 김앤장으로 변경하고 항소를 진행, 15일 2심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LG유플러스 측은 이번 '갑의 횡포'로 불리는 사태와 관련, 대리점주들과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협의점을 찾고 있다고 밝혔으나 확인 결과 1심 이후 엘피모 측과 만난 사실이 없는 등 거짓 해명 논란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2011년 주파수 할당, 선후발 사업자간 접속료 차등 등 정부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통신요금 인하 등 소비자를 위해 필요한 역할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이통3사 중 마케팅비용도 최다,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상승률도 가장 큰 상황"이라며 "LTE 선점 이후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잇따른 법정 공방을 펼치기보다 소비자 혜택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