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미래창조과학부 및 산하기관의 보안USB 분실이 7개 연구기관에서 총 34건 발생하는 등 업무보안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이 미래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미래부 및 산하기관 보안USB 등 보조기억매체 분실현황 및 분실사유'에 따르면 한국전기연구원이 11건, 한국원자력연구원 6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6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건, 한국원자력의학원 3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건의 분실 신고가 접수됐다.
특히 미래부 및 미래부 소속 기관의 보안USB 도입여부를 살펴보면 6개 연구기관은 보안UBS 의무사용 규정을 위반해 미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UBS는 속도가 빠르고 대용량이며 사용하기 간단하면서도 휴대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최근 가장 보편적인 휴대용 저장 장치로 꼽힌다. 하지만 이같은 장점으로 인해 내부 기밀자료의 외부유출 매체로 악용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지난 5년간 산업기술 유출이 총 204건 발생했는데 USB나 외장하드에 의한 유출이 전체의 4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정보원은 2007년 초 국가와 공공기관의 기밀 유출 방지를 위해 보안USB 사용에 관한 'USB메모리 등 보조기억매체 보안관리 지침'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년간의 유예기간이 끝나는 2008년 4월부터는 각급 공공기관들은 보안USB를 의무 사용해야 한다.
민병주 의원은 "최근 3년간 산업기술 유출로 인한 피해 금액이 5조6000억원에 이르는 등 공공기관의 기밀 유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미래부는 산하 연구기관의 보안 의식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과 함께 의무 규정을 위반하고 있는 연구기관에 대해 조속히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조치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