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문기 미래부 장관(왼쪽)과 이경재 방통위원장./사진=뉴시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가 본격 시작된 가운데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이경재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국감 대처 모습이 대비돼 주목받고 있다.
미방위 국감은 14일 박근혜 정부 들어 신설된 미래부를 대상으로 포문을 열었다. 이날 국감에선 미래부 신설 이유인 '창조경제'의 실체와 가계 통신비를 둘러싼 통신비 원가 자료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여야 의원들은 한국경제연구원의 지난 8일 설문조사를 근거로 "응답자의 52.2%가 창조경제를 잘 모른다고 했고, 응답자의 7%는 아예 들어본 적 없다고 했다"며 "미래부가 야심찬 목표를 갖고 탄생했지만 박근혜정부가 끝난 뒤 다음 정권에도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장관도 과연 창조경제가 뭔지 아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통신비 원가 자료 공개에 대한 압박도 이어졌다. 미방위 소속 의원들은 "법원이 이를 공개하라고 판결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기업편에 서서 항소를 하고 있다"며 항소를 취하하고 이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이 같은 압박에 최문기 장관은 우물쭈물 한다던지 "잘 모르겠다" "확인해보겠다" 등 애매한 답변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오전내내 법원 소송중이라는 이유로 통신비 원가 자료 공개를 거부하던 최문기 장관은 이날 오후 돌연 "항소를 취하하고 이후 자료 공개를 하겠다. 다만 항소 시기는 조율이 필요하다"며 한 발 물러선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최문기 장관의 국감 대처 태도에 일부 의원은 "인사청문회 당시에도 공부 좀 하시라고 했는데 여전히 모르면 어떻게 하느냐"며 "제발 공부 좀 하시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반면 둘째날인 15일 열린 방통위 국감에선 이경재 방통위원장에 대해 종편 사업자에 대한 문제를 놓고 여야 의원들의 공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경재 방통위원장은 의원들이 제기한 문제점을 일부 수긍하며 "재승인 심사 과정에 반영하겠다"는 말로 일관했다. 혹은 채널A에 대한 동아일보 우회출자 의혹 제기에 대해서도 "사실 확인이 먼저"라며 팽팽히 맞섰다.
김민배 TV조선 보도본부장의 불출석 문제를 놓고 정회된 이후 "하루 더 방통위 국감이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경재 방통위원장은 "하루 더 진행해도 걱정없다"면서 여유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날 방통위 국감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이경재 위원장의 국감 대처 모습에 대해 "확실히 4선 의원 출신이라 노련한 것 같다"면서 "여당 출신인 만큼 여당 측의 공세도 최문기 장관 때와 다르게 다소 약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