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노동/복지/환경

저어새·황새 등 4대강사업 후 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28종 사라져



4대강 사업 이후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를 포함한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 총 28종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민주당) 의원이 21일 공개한 환경부의 '낙동강 살리기 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4대강 사업 3년차에 진행된 2012년도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 4대강 사업 이전 발견된 총 49종의 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가운데 4대강 사업 이후 28종이 사라졌다. 사라진 생물은 조류 23종, 포유류 3종, 양서파충류 2종이었다.

조류의 경우 4대강 사업 이전에는 총 41종의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이 조사됐으나 지난해에는 이중 절반 이상이 사라진 18종만이 발견됐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이자 천연기념물로는 노랑부리백로·저어새·참수리·황새 등 총 4종이, 멸종위기 야생동물Ⅱ급이자 천연기념물로는 개리·검은머리물떼새·뜸부기·안락개구리매 등 4종이 사라졌다.

이밖에 천연기념물로 단일 지정된 검독수리·두견·소쩍새·쇠부엉이·수리부엉이·큰소쩍새·사도요 등 7종, 멸종위기 야생동물Ⅱ급으로 단일 지정된 벌매·붉은가슴흰죽지, 새홀리기·알락꼬리마도요·참매·큰덤불해오라기·큰말똥가리·흰죽지수리 등 8종도 발견되지 않았다.

포유류의 경우 4대강 사업 이전에는 수달, 삵, 담비, 하늘다람쥐가 상류에서 발견됐고 하류에서는 물범이 출현하기도 했지만 2010년 이후 수달과 삵을 제외한 나머지 동물들은 모두 사라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