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업체 안랩이 최근 돌잔치, 청첩장 사칭을 넘어 공공기관, 통신사 등을 사칭한 다양한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수법) 사례가 잇따라 발견돼 이용자들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27일 안랩에 따르면 최근 발견된 스미싱 문자는 명의 도용방지 서비스를 사칭한 해외 IP확인요청이 주요 문자 내용이다. 해당 스미싱 문자에는 사용자의 이름·주민번호와 함께 'ooo.com(특정명의도용방지서비스 명)'의 링크가 포함돼 있다. 본인의 주민번호와 일치하는 문자를 받은 사용자는 의심없이 URL을 클릭하기 쉽지만 이를 클릭 시 악성 앱이 설치되고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다.
국민건강보험을 사칭한 '무료암검진 대상' 문자도 발견됐다. 이 문자는 미리 유출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전화번호, 연령대)와 허위 무료 암검진 내용을 조합하한 '복합형' 스미싱 형태로 추정된다.
스미싱 문자의 원조 격이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 청첩장' 스미싱의 내용도 진화해서 다시 발견됐다. 최근 나온 해당 스미싱 문자는 기존에는 없던 '자녀 결혼식' 콘셉트를 추가해 웨딩 사진첩 URL 클릭을 유도한다.
또한 유명 외식업체를 사칭한 스미싱도 발견됐다. '[ooo(유명외식업체 명)]10/17 결제금액 12만5000원 완료/결제확인차단 u*s*e*a13.com' 와 같이 주로 구체적인 기업명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착각하기 쉽다.
이밖에 통신사를 사칭한 '요금 청구서 확인', 공공기관 사칭 '무인단속 적발' 스미싱 등이 발견됐다.
스미싱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SNS나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 실행 자제 ▲모바일 백신으로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검사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다운로드 등이 필요하다. 만약 피해를 당했을 경우 경찰서에서 '사건사실확인원'을 받아 통신사에 제출하면 보상 받을 수 있다.
안랩 이호웅 시큐리티대응센터장은 "스마트폰 환경의 특징을 이용, 사용자를 속이고 개인정보 및 금전탈취를 하기 위한 스미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사용자는 모바일 백신이나 스미싱탐지 전용 앱을 사용하고 문자나 메신저에 포함된 URL클릭 자제, 소액결제 차단 등 스마트폰 사용에도 보안의 관점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