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올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307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7%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조7346억원, 당기순이익은 136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 63.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KT스카이라이프, KT렌탈 등 그룹사들의 영업이익 기여분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끼쳤다. 그룹사들의 영업이익 기여분은 1608억원으로 전년 동기(322억원) 대비 5배 가량 증가했다.
반면 매출과 순이익의 감소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보조금 과열 선도사업자로 꼽히며 지난 7월 단독 영업정지를 당한 영향이 실적에 그대로 반영됐다.
이로 인해 무선부문 통신 매출과 순이익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사업별로 보면 무선분야는 무선단말 판매 관련 매출 하락 등으로 매출이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2.3% 하락한 1조7138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가 전체 무선의 41.8%인 682만명으로 확대되고 가입자당 평균매출액(ARPU)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9월부터 시작된 광대역 LTE 서비스와 LTE-A 서비스는 '모든 LTE폰에서 광대역 LTE가 되는 곳은 KT뿐'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2배 빨라진 네트워크와 양질의 콘텐츠 및 데이터를 제공해 연말부터 본격적인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유선분야 매출은 유선전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한 1조4624억원을 기록했다. 유선전화 매출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KT는 초고속인터넷의 안정적 성장세를 기반으로 현재 약 2767만명의 All-IP 가입자 규모를 지속 확대하여 유선분야 매출 하락세를 극복할 계획이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7% 성장한 3510억원을 달성했다. IPTV와 스카이라이프를 포함한 KT그룹 미디어 가입자는 3분기 23만명이 증가해 667만명에 도달하면서 대한민국 최고의 유료방송서비스로 위상을 강화해가고 있다. 또한 KT는 모바일TV 시장에서도 '올레 TV 모바일'을 통해 약 26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한데다, 10월부터 지상파 3사 채널을 통신 3사 중 단독으로 제공하고 있어 유무선 미디어·콘텐츠 시장 리더의 지위는 한층 견고해 질 전망이다.
금융·렌탈 매출은 '신차 장기렌터카'로 신규시장을 개척 중인 KT렌탈의 성장세가 계속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9769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기타서비스 매출은 KTens, KT텔레캅 등 기타 자회사의 실적 호조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4308억원을 기록했다.
KT CFO 김범준 전무는 "세계 최초 광대역 LTE 서비스를 통해 모든 LTE 고객에게 2배 빠른 속도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게 되면서 빠르게 가입자 시장을 회복하고 있다"며 "광대역 LTE와 ALL-IP를 중심으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아프리카 등 해외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함으로써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컨버전스 리더로서 자리매김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