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회장의 사의 표명으로 인해 침체된 분위기의 KT가 이번엔 무궁화 3호 위성 헐값 논란에 휩싸여 이중고를 겪고 있다.
KT 위성사업 자회사인 KT샛(KT SAT) 김영택 사업총괄 부사장은 4일 KT 광화문 사옥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KT가 할당 받은 주파수를 홍콩 ABS사에 매각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무궁화 3호 위성 자체의 매매가격은 5억원이 맞으나 기술지원 및 관제 비용 등 200억원 대의 관련 계약이 체결됐다"고 부인했다.
김영택 부사장은 "주파수는 대한민국 정부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며 위성매각과 함께 ABS에 양도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면서도 "다만 할당받은 주파수를 현재 ABS가 사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국가 자산인 위성을 정부와 어떤 논의도 없이 매각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위성 매매 당시 이미 KT는 민영화된 상황이었다. 위성도 민영화된 KT의 자산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면서 "매각시 법 절차위반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법을 해석한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KT측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계약 시점 논란, 계약에 관여한 임원의 해임 논란 등이 새롭게 불거지며 더많은 의혹만을 남겼다.
최근 국감에서 KT의 무궁화 3호 위성 헐값 논란을 공개한 민주당 유승희 의원 역시 "KT의 해명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라며 "핵심사안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고 거짓·꼼수 해명이 난무했다"고 비난했다.
유 의원은 "KT의 오늘 해명 기자회견이 오히려 의혹을 더욱 부풀렸다"면서 "이제라도 무궁화 2호, 3호 위성 매각에 대한 계약의 세부 내용을 국민에게 공개하고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제대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