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국회가 여야의 '특검' 충돌로 또다시 멈춰섰다.
민주당은 지난 8일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한 채 대검청사 앞에서 검찰 수사 항의집회를 열었다. 북방한계선(NLL) 회의록 수사와 관련해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공개 소환해 조사하고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등은 서면 조사한 것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검찰을 규탄했다.
민주당은 "더는 검찰을 신뢰할 수 없다"며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경찰 수사에 대한 외압 의혹, 국정원장과 서울중앙지검장의 검찰수사 관련 직권남용 의혹, 국가보훈처 대선 개입 의혹, 국군 사이버사령부 대선 개입 의혹,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유출 의혹 등 6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원샷 특검'을 요구했다.
이어 9일 오후에는 서울광장에서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촉구 9차 국민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와 여권을 압박했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민주당 지도부는 자리를 뜨지 않고 정부와 검찰을 비난했다.
12일 '국가기관 대선개입 대응을 위한 범야권 연석회의'의 출범을 앞두고 시민사회를 대표해 김상근 목사가 자리해 연대를 과시하기도 했다.
민주당의 갑작스러운 입장 변화는 내년 6·4지방선거의 승리를 위해 빼앗긴 정국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총선과 대선에서 연패한 뒤 10·30 재·보선마저 패하면서 위기론에 휩싸인 민주당은 최근 안철수 의원이 신당 창당을 구체화하고, 특검을 주장하면서 주목을 받자 이를 경계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또 안 의원이 주장한 특검에 동조해 공동보조를 취해가다보면 자연스럽게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정치 연대도 모색할 수 있다.
특히 민주당은 최근 헌법재판소에 통합진보당의 해산청구를 제기하는 사상 초유의 사건이 발생하고,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의 불공정 행위가 여러차례 드러나면서 많은 국민이 현 정부에 등을 돌리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발빠르게 '야권 연대'를 위한 행동을 취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민생과 경제 살리기를 외면하고 거리로 나서는 야권의 행동을 비난하고 있지만, 정작 새누리당이 정당 해산 등 극단적인 방법으로 야권을 몰아붙인다면 민주당은 강경 노선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