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국회에서 취임후 처음으로 행한 내년도 예산안 정부 시정연설에서 '경제부흥·국민행복·문화융성·평화통일 기반구축' 등 4대 국정기조를 설명하고,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을 제때에 처리해 줄 것을 국회에 요청했다.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이 최대한 원형대로, 그리고 빨리 통과돼야만 국정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부흥과 관련 "제조업, 입지, 환경 분야 중심으로 추진되어 온 규제완화를 전 산업 분야로 확산해 투자 활성화의 폭을 넓혀가려고 한다"며 "특히 의료, 교육, 금융, 관광 등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창조경제의 핵심인 업종간 융복합을 저해하는 규제를 과감하게 철폐하고, 문화와 보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으로 금년보다 12%가 증가한 6조5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외국인투자촉진 법안, 관광분야 투자활성화 법안,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한 주택 관련 법안 등은 대한민국 가장의 처진 어깨를 펴주고 국민에게, 특히 청년들에게 희망을 찾아 주기 위한 법안들"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행복과 관련해 "내년 7월 기초연금제도 도입을 목표로 예산 5조2000억원을 반영했다"며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불가피하게 해결하지 못한 부분들은 경제를 활성화시켜 지켜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공약준수'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와 관련,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예산과 민생법안 처리보다 중요한 책무는 없는 만큼 오늘부터 여야가 민생을 향해 손잡고 나가도록 힘써야 한다"고 민주당의 협조를 강하게 촉구했다.
반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미지근한 물로는 밥을 지을 수가 없다. 말씀은 많았지만 정답은 없었다"고 실망감을 드러내며 향후 대여 투쟁의 강도를 높여나가기로 했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대통령 시정연설 직후 국회 본관 계단에서 규탄집회를 열고 박 대통령에게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특검 도입 등 현안에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황교안 법무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과 남재준 국가정보원장·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해임촉구결의안도 각각 19일 제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