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23일 동중국해 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을 설치하겠다고 선포, 일본이 즉각 항의하는 등 향후 양국 갈등이 최고조에 달할 전망이다.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내각관방(총리관저)과 외무성 등 관료들을 불러 즉각 대응책을 논의하고, 센카쿠 주변의 경계 및 감시 강화를 지시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일본 외무성은 즉각 주일 중국대사관을 통해 "중국 정부가 센카쿠를 둘러싼 양국 간 긴장을 높이고 있다"고 강력하게 항의했다.
일본이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중국 정부가 이번에 설정한 구역이 일본이 이미 설정한 방공식별구역과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이 안에 는 양국이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도 물론 포함된다. 특히 중국 정부의 방공구역 설정으로 양국 간 우발적인 충돌 사태가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간 항공자위대는 일본이 설정해 놓은 방공구역에 중국 항공기 등이 진입할 경우 일본 영공을 침입하지 못하도록 전투기를 긴급 발진해 왔다. 하지만 이번에 중국도 방공구역을 설정, 앞으로 센카쿠 영공에서 양국 전투기 등이 만날 횟수가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예측 불허의 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일본 정부가 조바심을 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방공구역 설치과 관련, 미국은 "역내 안정을 해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이라며 비난의 화살을 날렸다. 백악관과 국무부,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중국의 처사에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케이틀린 헤이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미국과 동맹국들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고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이라며 "미국은 역내 동맹과 이번 사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도 공식 유감을 표명하고, 중국과 협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