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설정에 대해 중일간 대화 채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동북아 3개국 순방을 시작한 바이든 부통령은 3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회담을 가진 후 공동 기자회견에 나서 "위기관리 메커니즘과 위기를 막기 위한 중일 간의 대화 채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아시아 중시 전략에 힘을 쏟고 있다"며 "중국이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것과 관련해 중국에 우려를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미일 양국은 회담을 통해 중국의 일방적인 행동을 묵인할 수 없으며 미일 동맹에 기반해 계속해서 긴밀하게 협조할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일본이 미국과 공동으로 중국에 대응하겠다고 밝힌 반면 미국은 대화를 통한 사태를 해결겠다는 입장이라 바이든 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4일 명확한 입장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바이든 부통령이 "한일 간의 협력과 관계 개선이 중요하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한국, 일본과 긴밀히 협의해 한미일 3각 공조를 복원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중국은 이날 방공식별구역을 관리하기 위해 군용기 출동을 불사하겠다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겅옌성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담화문을 통해 "방공구역을 비행하는 물체가 명확하게 일정 수준의 위협에 도달하면 적시에 군용기를 출동시켜 식별 처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국가들은 자국 민간항공사에 비행 계획을 통보하지 말도록 압력을 넣고 있다"며 "통보거부 입장을 유지하는 것은 아무런 이득이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사실상 일본을 겨냥한 것으로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역시 "방공식별구역 설정 이후 13개 국가 및 지역의 30여개 항공사가 중국 당국에 방공식별구역을 통과하는 비행계획을 제출하고 있다"며 "이런 태도나 중국에 대한 협력을 칭찬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이날 오전 오타 아키히로 일본 국토교통상은 "(비행계획 미제출이) 즉각적으로 안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