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체제 2인자였던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실각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의 권력지도가 어떻게 바뀔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정원에 따르면 장 부위원장의 최측이었던 이용하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은 지난달 공개처형됐고, 나머지 측근들의 거세작업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성택이 물러나면 김정은 체제에서 가장 급부상할 인물은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이다.
그는 김정은 체제에서 군 총정치국장에 올라 군부를 장악하면서 장성택과 양대 축을 형성했다. 최근에는 경제개혁 방향 등을 놓고 장성택과 갈등을 벌였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최룡해는 권력욕이 큰 것으로 알려져 이번 장성택의 제거에도 직접 나서 진두지휘를 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금까지 북한의 경제정책을 총괄적으로 이끌었던 박봉주 내각 총리는 장성택 라인이어서 조만간 실각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장성택이 실각한다고 해도 그의 부인인 김경희 당 비서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짧은 후계기간 때문에 정치적 카리스마가 부족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입장에서는 집안의 최고 어른인 김 비서를 통해 '백두산 혈통'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김 비서의 정치적 입지는 매우 공고한 상황이다.
김경희는 최근 건강이 악화됐고, 남편 장성택과도 오래 전부터 관계가 냉냉했던 것으로 알려져 정치적으로 건드릴 이유가 없다.
노동당의 부활과 경제변화를 꾀하던 장성택의 실각이 사실이고 그 배후에 최룡해 총정치국장이 있다면 북한 사회는 다시 선군시대로 복귀할 가능성이 크다.
군 총정치국장이 군부의 인사문제를 총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북한 군부는 사실상 최룡해의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정남 인민무력부장, 리영길 총참모장, 서홍찬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등 현재 북한 군부 핵심인물들은 모두 최룡해가 앉힌 소장파들이라는 점에서 '최룡해의 사람들'로 분류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