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의 여파로 노후준비를 하는 가구주의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자 중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비율과 집보다 무료 양로원이나 요양원에 가고 싶다는 인구가 더 늘었다.
4일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의 '2013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국민의 현실의식과 생활여건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 교육, 복지 등 10개 부문을 5개씩 나눠 2년 간격으로 조사한다
올해는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등 5개 부문에 대해 전국 1만7664개 표본가구에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가구주의 72.9%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2년 전 조사보다 2.9% 떨어졌다. 반면,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가구주는 27.1%로 같은 폭만큼 증가했다.
노후 준비를 하는 가구주들은 주로 '국민연금(52.5%)' '예·적금(17.4%)' 등을 준비수단으로 삼고 있었다.
또 '남자(79.4%)'가 '여자(53.4%)'보다 적극적으로 노후 준비에 나섰다. 연령에 따라서는 30대와 40대에서 각각 87.1%, 85.7%로 높은 준비율을 기록했다. 노후대비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들은 '능력이 없다(49.7%)' '앞으로 준비할 것(24%)' 등의 이유를 들었다. 자녀에게 의탁하겠다는 이들은 17.4%였다.
앞으로 자녀와 동거할 의향에 대한 설문에는 27%만이 같이 살고 싶다고 답했다. 같이 살 의향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자기 집(78.8%)' '양로원 또는 요양원(15.4%)' 등을 대처방안으로 꼽았으며 여자(29.7%)가 남자(23.5%)보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60세 이상 고령자가 받고 싶은 복지 서비스는 건강검진(30.9%), 간병서비스(24.1%), '가사서비스(17.5%), '취업알선'(10.6%) 등으로 고령자들은 '경제적 어려움'(38.6%), '건강문제'(35.5%) 등에서 대부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63.6%), '자녀 또는 친척 지원'(28.8%), '정부 및 사회단체'(7.6%) 등의 순이었다.
19세 이상 인구 가운데 원하는 장례 방법은 '화장 후 자연장'(45.3%)을 가장 선호했고 '납골당이나 납골묘 등에 화장후 봉안'(38.3%), '매장'(14.7%)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