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국의 수학·과학 영재를 선발해 초등학교 때부터 해커로 양성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인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소(APCSS)의 스티븐 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미경제연구소(KEI)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탈북자 증언 등을 바탕으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선발된 초등학생들은 먼저 북한에서 교육을 받고 러시아나 중국으로 건너가 특별 훈련을 받은 뒤 작전에 투입된다"고 밝혔다. 이어 "조기 교육 덕분에 현재 북한은 3000여 명의 전문 해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1990년대 중국과의 군사 교류를 통해 500명의 해커로 구성된 사이버 부대를 창설했다. 이후 엘리트 학생 해커들을 집중 육성해 부대의 몸집을 불렸다.
김 교수는 북한이 사이버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핵프로그램 폐기에 대한 대외적인 압박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의 정부·민간 네트워크를 무력화시켜 물리적·경제적 피해를 주고 한국 국민의 혼란과 공포를 일으켜 갈등을 조장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북한은 IT산업이 취약하기 때문에 사이버 도발을 하더라도 한국의 보복 공격으로 잃을 게 없다"며 "제2의 천안함 사태, 연평도 사태 등 군사적 도발보다는 향후 대규모 사이버 공격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국가정보원은 국정감사 브리핑에서 "북한이 국방위와 노동당 산하 7개 해킹 조직에 1700명의 해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사이버전은 핵무기와 함께 인민군의 무자비한 타격 능력을 담보하는 만능의 보검"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