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인물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 95세 일기로 타계



'민주화 상징'인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95세를 일기로 타계했다고 주요 외신이 긴급 속보로 타전했다.

제이콥 주마 남아공 대통령도 이날 성명을 통해 만델라 전 대통령의 사망 소식을 공식적으로 전했다.

그동안 만델라는 지병인 폐 감염증 재발로 지난 6월 병원에 입원했다 9월 퇴원했으나 자택에서 계속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왔다.

그의 자서전 제목처럼 '자유를 향한 길고도 먼 여정'을 달리고 한 세기에 가까운 질곡의 삶을 마감한 것이다.

1918년 남아공 동남부 음베조에서 마을 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만델라는 백인 정권의 아파르트헤이트(흑백차별) 정책에 맞서 '아프리카민족회의(ANC. 현 집권당)'를 이끌며 투쟁하다 투옥돼 27년간 옥살이를 했다.

국내의 저항과 국제사회의 압력에 굴복한 남아공 백인정권은 1990년 만델라를 출소시키고 ANC도 합법조직으로 인정했다.

만델라는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해 노력한 공로로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마지막 백인 대통령인 F. W. 데 클레르크 대통령과 지난 1993년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어 1994년 남아공 최초의 민주선거를 통해 첫 흑인 대통령에 당선됐다. 이후 '진실화해위원회'를 출범시켜 청문회에서 잘못을 고백한 백인을 사면하는 등 흑인과 백인의 평화로운 공존을 도모하는 용서와 화합의 지도력을 발휘,민주화의 상징인물로 추앙 받아왔다.

앞서 지난 6월29일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람 중 하나', '인종차별 반대의 상징'이라며 남아공 민주화에 헌신한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에 대해 극찬했다.

오바마는 "자유를 위해, 인종차별을 없애기 위해 투쟁해 온 만델라의 도덕적 용기는 나에게, 그리고 전 세계인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고 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7월 18일 넬슨 만델라의 날을 맞아 비공식 유엔 총회에서 사회 정의와 화합을 위해 공헌한 만델라의 업적을 칭송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