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출신 서울대 수시합격자는 줄어든 반면 과학고·외국어고 등 특목고와 자율형사립고 출신 합격자는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6일 서울대가 발표한 지역균형선발전형과 일반전형 2532명의 명단을 조사한 결과, 일반고(자율형사립고·자율형공립고 제외) 출신이 518명 합격해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일반고 출신 합격자 비율이 지난해 662명(37.5%)에 비해 9.2% 포인트 줄어든 셈이다.
반면 외국어고 출신은 167명(9.5%)에서 244명(13.3%)으로 늘었다. 국제고 출신도 22명(1.2%)에서 39명(2.1%)로 증가했다. 과학고 출신 역시 233명(12.7%)으로 지난해 210명(11.9%)보다 증가했다. 자사고 출신 합격자도 287명(16.3%)에서 349명(19%)으로 늘었다.
이에따라 일반전형에서 합격자를 배출한 고교는 일반고, 외국어고, 과학고 등을 통틀어 모두 405곳으로 지난해 468곳보다 63곳 줄었다.
모든 전형을 통틀어도 일반고 합격자는 1243명(46.3%)으로 지난해 1448명(54%)보다 7.7% 포인트 줄었다. 반면 자사고(405명, 12.8%→15.1%), 과학고(233명, 7.9%→8.7%), 외국어고(250명, 6.3%→9.3%) 등은 합격자 비율은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981명(37%)으로 합격자를 가장 많이 냈으며 시 895명(33.8%), 광역시 596명(22.5%), 군 177명(6.7%) 순이었다.
특히 최근 3년간 합격자가 없었던 강원 정선군, 전북 완주군 등 2개 군에서 합격자가 나왔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1527명(56.9%), 여학생이 1157명(43.1%)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남학생 합격자가 2.8% 포인트 줄고 여학생 합격자는 그만큼 늘어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