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가 부실한 상장사 300곳의 평균 부채비율이 280%에 육박해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1501개 비금융 상장사 중 부채비율 최상위 300개사의 평균 부채비율은 지난 6월 말 279.2%로 1년 전보다 35.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리먼 사태 직후인 2009년 6월 말의 259.3%를 훌쩍 넘어서는 수치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총부채를 자본총계로 나눈 값이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재무상태가 위험함을 뜻한다.
이들보다는 형편이 낫지만 역시 부채비율이 높은 편인 차상위 300개사의 평균 부채비율도 올해 6월 말 127.4%로 2009년 6월 말의 129.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체 기업의 부채비율은 90% 안팎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나 재무상태가 부실한 기업들은 부채비율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이는 기업의 이자 부담 능력을 보여주는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에서 한층 두드러졌다.
1501개 비금융 상장사 전체의 이자보상비율은 2009년 상반기 292.8%까지 추락했다가 올해 상반기 425.8%로 회복했다.
그러나 삼성전자·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기아자동차·LG화학 등 상위 5개사를 빼면 265.1%에서 245.0%로 오히려 낮아진다.
또 이자보상비율이 100%에도 미치지 못해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좀비 상태'에 가까운 기업의 비중은 2010년 상반기 32.0%에서 올해 상반기 37.9%로 커졌다.
최석원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기업의 재무구조에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해졌다"며 "취약 업종의 쏠림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김현정기자 hjkim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