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금리도 오르고 세금도 오르면서 가계의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질 것으로 보인다.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자영업자의 다중 채무 문제도 가계부채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내 가계금융이 이런 특성을 나타내면서 일반 가계는 부채 청산을 최우선 과제로 놓고, 생활비와 노후자금 마련에도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정 연구원은 "내년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가계의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에서도 세수확보에 목 말라있는 상태이므로 소득이 탄탄하게 뒷받침되지 않는 가계의 체감적인 세 부담은 커질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가계 지갑에서 나갈 돈은 많은데 들어오는 돈은 더디게 늘어나면서 생활비 마련을 고민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정 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과 관련 없이 부채 상환, 사업자금 및 생활비 마련 등의 대출 비중이 37.9%에 달하며 저소득층으로 내려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며 "특히 예상 은퇴 연령이 66.1세인 데 반해 실제로 은퇴하는 나이는 61.3세로 5년 정도 빠른 것으로 집계된 상황에서 현재 생활비가 부족하다는 응답도 61.9%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주택 구매를 위해 레버리지를 일으켰던 과거 추세와 달리, 당장 쓸 돈을 충당하는 방향으로 대출 양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해 제2금융권으로 밀려난 저소득층의 생계형 대출이 빠르게 늘면서 가계부채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정 연구원은 "금리 상승기에 접어들면 제2금융권 대출부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며 "그럴 경우 현재 1000조원을 넘어간 가계부채 문제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여기저기서 돈을 끌어다 쓴 자영업자들의 빚 부담이 상당히 커졌다.
정 연구원은 "은행권에서 자영업자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7%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한 다중채무를 짊어진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1.34%로 높아지고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통상적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1%를 넘어가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풀이된다.
정 연구원은 "지금 금리 수준이 바닥이라고 보면 앞으로 올라갈 일밖에 없다"며 "가계들은 금리 상승에 대비해 원리금 상환 등 부채 줄이기를 최우선 과제로 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