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통계청·서울시·제주도교육청이 올해 실시된 청렴도 평가에서 최고기관으로 선정됐다. 경찰청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653개 공공기관을 놓고 민원인과 공공기관 직원 등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2013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평가는 ▲민원인(16만 5191명) ▲기관 소속직원(5만 6284명) ▲학계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정책고객(1만 8507명)의 설문조사 결과에 부패사건과 설문과정에서의 신뢰도 저해행위에 대한 감점을 적용해 산출했다.
청렴도 상위를 기록한 기관을 살펴보면,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수사·단속·규제 기관은 병무청이, 일반 행정기관은 통계청이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서울시, 시·군·구에서는 경기 오산시, 충북 보은군, 서울 마포구, 교육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각각 최고 점수기관으로 조사됐다.
공기업부문에서는 한국남부발전, 준정부부문에서는 기술보증기금·한국주택금융공사, 지방공사부문에서는 경기관광공사, 지방공단부문에서는 대구광역시환경시설공단, 연구원 부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타공직유관단체부문에서는 한국수출입은행, 국공립대학부문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고 점수를 받은 기관으로 나타났다.
반면, 5개 등급 가운데 최하위 그룹에 속하는 기관은 검찰청과 경찰청, 국방부였다. 이 기관들은 고위공직자가 비리에 연루됐거나 조직내부의 부패행위가 드러나 청렴도 측정에서 감점 요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경찰청은 10점 만점에 6.86점을 받았다. 경찰청의 점수는 지난해보다 0.5점이 높아지긴 했지만 등급으로는 여전히 가장 낮은 등급인 5등급에 머물렀다. 검찰청과 국방부도 각각 6.91점과 7.12점을 받으며 5등급에 머물렀다.
한편 올해 전체 공공기관의 종합 청렴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7.86점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권익위는 청렴도 평가 부진기관에 대해 청렴컨설팅과 반부패경쟁력평가를 확대 실시하고 우수기관의 사례는 다른 기관에 전파할 예정이다. 또 권역별 설명회를 열어 기관의 애로사항과 의견도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