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에서도 의약품의 마트 판매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프랑스 정부가 처방전이 필요없는 의약품을 대상으로 마트 판매를 승인했다. 여기엔 임신 테스트기, 콘텍트렌즈와 같은 제품도 포함된다.
이번 의약품 마트 판매는 '가격할인'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판매 무대를 조금씩 넓혀 경쟁력 향상과 혁신을 꾀하겠다는 취지다. 소비자협회(l'UFC-Que)는 의약품 마트 판매가 현실화 될 경우 프랑스인의 약물 남용이 16%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탈리아 모델 도입해
마트에서 판매될 의약품은 엄격한 제한이 가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 경쟁규제국의 브루노 라세르(Bruno Lasserre) 회장은 "의약품이 마트에서 판매될 경우 법으로 지정된 곳에서만 가능하며 약사도 있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탈리아에서 가져온 이번 의약품 마트 판매안은 프랑스에선 조금 변형되어 적용될 예정이다. 의약품을 완전 개방한 미국식과 엄격 규제를 하는 프랑스식의 중간이라 볼 수 있다.
몇년 전부터 약사조합은 이러한 판매안을 반대해오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항해 프랑스 대형마트체인인 르 클럭(E.LeClerc)의 미셸-에두아르 르클레르크(Michel-Edouard Leclerc) 회장은 약국의 독점을 막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가약사단체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약국은 의약품 가격을 높이지 않고 오히려 대형마트나 종합 소매점이 약품 가격을 올려 판매할 것이다. 특히 아이들 기저귀, 콘돔과 같은 물품은 더 가격이 높아질 것이다"라며 반박했다.
마리솔 투렌(Marisol Touraine) 보건부장관은 의약품 마트 판매에 대해 반대의견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 지난 19일 발표된 한 성명에서 그녀는 "사안을 검토중이다. 하지만 약국의 독점을 막겠다는 취지는 분배의 필요성과 부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가 법안을 진전시키기 위해선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알렉상드르 브레송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