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장성택의 숙청은 권력 투쟁 과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이권 사업을 둘러싼 갈등이 비화된 사건"이라고 분석했다.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은 23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전체회의에서 "장성택이 이권에 개입해 타 기관의 불만이 고조됐고, 김정은에게 비리가 보고돼 장성택에 대한 불신이 있었다"며 "장성택은 당 행정부 산하 54부를 중심으로 알짜 사업의 이권에 개입했는데, 주로 이는 석탄에 관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장성택은 지난달 중순 구금 조치됐고, 이후 같은 달 하순 측근인 리용하와 장수길이 공개 처형됐다. 북한은 8일 장성택을 출당·제명 조치하고 나흘 뒤인 12일 사형을 집행했다.
남 원장은 "숙청 후속 조치로 장성택과 연계된 기관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고 장성택의 해외 거주 친인척과 측근들에 대한 귀국 조치를 하는 등 장성택의 흔적 지우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장성택 숙청은 기관 간 이권 갈등 및 장성택 측근의 월권 문제가 누적된 상황에서 김정은이 시정 지시를 했을 것이고, 김정은의 이권 개입 조정 지시가 거부되자 유일 영도체제 위배로 결론을 내려 숙청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권력구도 변화와 관련해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은 김정은의 측근 실세로 부상했다. 김원홍을 통해 내부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측근 실세는 김원홍과 최룡해로 본다"고 밝혔다.
또 "장성택과 연계된 보안부장 최부일, 합영투자위원장 이광근, 부총리 노두철, 당비서 문경덕 등은 정상 활동 중이나 관련 조사가 진행 중이고 신상 변동에 대한 여부는 조금 더 주시해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1~3월 도발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는 내부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한 것"이라며 "서북 5도 부대의 병력 증강, 훈련 강도의 강화 등으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간에 떠도는 장성택 최측근의 중국 또는 한국 망명설과 김정남 망명설 등에 대해서는 "낭설이다. 확인해줄 수 없다는 수준이 아니라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