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권 출범 1주년이 되는 26일 오전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전격 강행했다.
일본의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이후 7년 만이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로 역사 문제와 센카쿠 열도 문제 등으로 대립해온 한·일, 중·일 관계는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참배 후 "일본을 위해 귀중한 생명을 희생한 영령에게 존숭(尊崇)의 뜻을 표했다"며 "중국, 한국민들의 기분을 상하게 할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아베 정권의 1년을 보고하는 의미에서 정권 출범 1주년이 되는 오늘을 택했다. 한국, 중국 정상에게 직접 설명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여야는 이날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를 '망동'으로 규정하고 일제히 규탄했다.
새누리당은 "부끄러운 과거사를 참회하고 세계평화에 이바지하는 노력을 보이기는커녕 침략의 역사를 미화하고 동북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아베 총리를 강력히 규탄하고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어떤 행동과 말로도 일본의 침략전쟁과 과거사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역시 "아베 총리의 몰역사적 행보에 대해 규탄하고 한·일관계뿐 아니라 동북아 평화질서를 깨뜨리는 망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일간의 과거사 갈등을 어떤 식으로든 봉합해 한·미·일 삼각 군사협력 체제를 구축하려던 미국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휴일이어서 미 백악관은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미 전문가들은 "그동안 미국은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자제한 것을 높이 평가하면서 과거사와 관련해 나름대로 성의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왔다"며 "이런 상황에서 아베 총리가 취임 1년을 맞아 전격적으로 신사참배를 강행한 것에 대해 놀라고 크게 실망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야스쿠니 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의 영령을 떠받드는 곳으로,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 6000여 명이 합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