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권 출범 1주년이 되는 26일 오전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전격 강행했다.
일본의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이후 7년 만이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로 역사 문제와 센카쿠 열도 문제 등으로 대립해온 한·일, 중·일 관계는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참배 후 "일본을 위해 귀중한 생명을 희생한 영령에게 존숭(尊崇)의 뜻을 표했다"며 "중국, 한국민들의 기분을 상하게 할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아베 정권의 1년을 보고하는 의미에서 정권 출범 1주년이 되는 오늘을 택했다. 한국, 중국 정상에게 직접 설명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소식이 전해지자 한·중·미 주변 국가들은 충격 속에 일제히 비난 성명을 냈다.
정부 및 여야는 아베의 행동을 '망동'으로 규정하고 규탄했다.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공식 논평에서 "아베 총리의 참배 소식에 분노를 느낀다"며 "일본의 잘못된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비난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도 "부끄러운 과거사를 참회하고 세계평화에 이바지하는 노력을 보이기는커녕 침략의 역사를 미화하고 동북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아베 총리의 몰역사적 행보에 대해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매체들은 실시간 속보로 내보내며 아베 총리가 주변국의 반대에도 야스쿠니를 참배했다면서 야스쿠니신사는 14명의 A급 전범이 합사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라면서 일본 각료와 의원들의 "악명높은" 신사에 대한 반복된 방문은 일본의 야만적 침략으로 고통받은 한국과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한·일간의 과거사 갈등을 어떤 식으로든 봉합해 한·미·일 삼각 군사협력 체제를 구축하려던 미국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휴일이어서 미 백악관은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미 소식통에 따르면 아베 총리가 신사 참배를 강행한 것에 대해 놀라고 크게 실망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