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언론들이 사설을 통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대해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는 역내 긴장을 높이는 쓸데없는 도발이라고 비판했다.
중국이 최근 동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해 한·미·일 3국이 안보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지만 야스쿠니 참배가 이런 분위기를 망쳤다는 설명이다. 일본 오키나와현의 미군 후텐마 비행장(공군기지) 이전 승인으로 강화될 수 있었던 미·일간 군사동맹도 금이 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WP는 "전후 일본 지도자들이 침략 사실은 물론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전쟁범죄에 대해 완전히 책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도발'(provocation)로 아베 총리의 국제적 입지와 일본의 안보를 더 약화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날 사설에서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이라는 망령을 군비 증강을 위한 구실로 삼으려는 중국 지도부에 선물이 됐다고 지적했다.
WSJ은 "중국이 공산당 1당독재의 체제 유지를 위해 반일감정을 고조시키는 민족주의를 부추기고 있다"며 "중국내에서 벌어지는 일본기업에 대한 소요와 불매운동은 종종 정부의 암묵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독일의 중도 보수 성향의 일간지인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FAZ) 역시 이날 사설을 통해 "아베 총리는 자신의 야스쿠니 신사 방문이 이웃국가들, 특히 중국과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분명히 알고 있었다"며 "아베의 일본은 인류 보편적인 가치와 인간의 기본권과는 다른 방향의 길을 가려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신문은 이어 "일본은 벙커 안으로 들어가 다른 나라들에 저주를 퍼붓고 있는 것"이라며 "물론 이 저주는 일본으로 되돌아오고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