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여행/레져

해돋이 등산…들뜬 마음만큼 철저한 준비 필요



새해를 앞두고 해돋이 산행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새해를 맞는 들뜬 마음과 달리 밤과 새벽 시간을 이용하는 산행은 시야 확보가 어렵고 지면이 미끄러워 부상의 위험이 높다.

◆보온에 신경 써야…무릎 손상은 퇴행성괄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겨울산은 기온이 낮아 근육과 혈관이 수축한다. 이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며 무릎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 등도 경직되기 쉽다.

이런 겨울산을, 그것도 야간에 오르다보면 평소보다 부상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산행 중 발을 조금만 잘못 디뎌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무릎이 충격을 받으면 십자인대 파열 등을 당할 수 있다. 더욱이 어둠 속에서 발을 헛디뎌 추락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안전한 해돋이 산행을 위해서는 보온이 중요하다.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 방한·방풍·방수 효과가 있는 등산복을 착용하거나 체온 유지가 잘 되는 기능성 제품으로 얇은 옷을 여러 겹 껴입는 것도 좋다.

또 장시간 언 길이나 눈 속을 걷다보면 발이 시린 경우가 많아 보온 양말이나 보온 효과가 있는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이와 함께 비상 상황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사고에 대비해 어둠에도 빛을 내는 소재나 색을 가진 옷을 선택해야 하며 신축성 있는 소재를 착용해 관절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

신발은 미끄러짐 등에 대비해 발목을 감싸는 등산화나 트래킹화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무릎 등 관절 보호대를 착용해야 하고 언 눈길에 대비해 아이젠과 등산용 지팡이도 꼭 지참해야 한다.

만약 등산 부상을 당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무릎 부상은 연골 손상 및 퇴행성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고 치료받아야 한다.

무릎 부상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손목과 발목 골절·고관절 골절 등의 부상도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송상호 웰튼병원 원장은 "새해를 맞이하는 해돋이 산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하다"며 "본인 컨디션과 운동능력을 정확히 파악한 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