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통신시장은 속도 전쟁과 보조금 이슈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LTE-A, 광대역 LTE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경매가 핵심이었다면 올해는 7월 전국망 구축으로 이동통신3사간 속도 전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는 광대역 LTE 서비스를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시작하고 있다. 이통3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주파수 할당 조건에 따라 올해 3월 광역시, 7월 전국망 구축으로 제한돼 있다. 이에 따라 올 7월이면 두 배 빠른 LTE 서비스를 전국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가입자가 5400만명에 달하기 때문. 이는 국민 1인당 1명 이상이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포화된 시장에서 올해는 전체 가입자 상승보다는 LTE 비중이 증가하며 매출 확대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올해 이동통신 시장의 가입자수는 전년 대비 0.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매출은 전년(23조4000억원) 대비 5.6% 성장한 24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조금 논란도 통신시장의 최대 핵심이다. 지난해 1월부터 과다 보조금 살포로 인해 영업정지로 새해를 맞은 이통3사는 올해도 과징금으로 새해를 맞았다. 과징금 규모도 사상 최대인 1064억원에 달한다.
특히 정부가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추진을 모색했지만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파행으로 국회 통과가 물거품됐다. 결국 올해 '단통법' 국회 통과를 재추진해야하는 상황이지만 결과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해 보조금 이슈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냐에 따라 통신시장이 긍정적이 될지 부정적이 될지 가름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