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화질' '플렉서블(flexible)' '스마트'로 세계인을 매료시킨다.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2014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한국 IT기업들의 위상을 뽐내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삼성·LG전자로 대표되는 한국기업들이 한발 앞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인 덕분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크기의 110형(약 2.8미터) 울트라HD(UHD) TV를 CES에 선보인다. 킹사이즈 침대보다 화면크기가 큰 이 제품은 풀HD의 4배에 달하는 해상도를 자랑한다.
LG전자도 세계 최대인 105인치 곡면 UHD TV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한 105인치 UHD 모델은 풀HD 해상도의 5배가 넘는 1100만 화소(5120×2160)에 달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도 한국 IT저력을 과시하는 도구가 될 전망이다.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고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 경쟁을 삼성·LG전자가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번 CES에 가변형TV 시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변형TV는 시청자가 리모컨으로 원하는 대로 평면TV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TV로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감싸고 있는 베젤과 후면 패널까지도 구부릴 수 있다. 덕분에아직 곡면TV 기술에 머물러 있는 해외 경쟁사들의 추격을 한방에 따돌릴 수 있는 신무기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모바일기기와 연결하는 생활가전 분야도 한국 기업들의 기술 전시장이 될 전망이다.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스마트폰 메신저를 이용해 냉장고·세탁기·오븐·로봇청소기와 대화를 할 수 있는 '홈챗(HomeChat)' 서비스를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TV를 보면서 말 한마디로 날씨·주식·스포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채널을 바꾸고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는 스마트 TV를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