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새해에 들어서자마자 도시가스·우체국 택배 등 공공요금은 물론 식음료 가격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를 거쳐 1일부터 도시가스요금을 평균 5.8%(서울시 소매가 기준) 인상하기로 했다. 주택 취사·난방용이 5.7%, 산업용이 6.1%, 영업용1(식당·숙박업 등) 5.5%, 영업용2(목욕탕·폐기물처리소 등)가 5.8% 각각 오른다. 이에 따라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의 요금부담이 평균 4300원 증가할 전망이다.
우체국 택배(소포) 요금도 9년 만에 인상된다. 우정사업본부는 2월1일부터 고중량 소포의 요금을 500∼1500원 인상하기로 하고 '국내소포 우편요금 및 소포이용에 관한 수수료(안)'을 행정예고 했다.
교통요금도 줄줄이 오를 전망이다.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은 올해 철도요금 5% 인상을 내부 목표로 정해 추진 중이다.
울산시는 올해 시내버스 요금을 5%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달 일반 택시요금을 평균 17% 이상 올렸으며, 부산시는 지난해 11월 시내버스 요금을 11%, 도시철도(지하철) 요금을 9% 인상했다.
식음료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오리온은 '국민 간식' 초코파이 가격을 올해 생산분부터 12개들이 한 상자 기준 4000원에서 4800원으로 20% 올린다. 해태제과도 에이스를 비롯해 7개 제품 가격을 평균 8.7% 인상한다.
파리바게뜨는 15일부터 일부 제품의 가격을 평균 7.3% 인상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올해 물가상승률 목표는 지난해 1.3%보다 1%포인트 높은 2.3%"라며 "최근 원자재 가격이 오른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