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정국이 격랑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경찰이 반정부 시위대를 유혈 진압한 데 이어 법원은 통합 야당 지도부에 소환장을 발부했다.
5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캄보디아 법원은 최근 반정부 시위를 주도한 삼랭시 등 통합야당 캄보디아구국당(CNRP) 지도자 2명에 대해 소환장을 발부, 14일까지 출두할 것을 명령했다. 법원은 소환장에서 CNRP 지도부가 범법 행위를 부추기고 심각한 사회 혼란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도 성명을 통해 "몇몇 정치인이 정부를 모욕하고 민중을 선동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정부와 국왕, 헌법을 지키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엄중하게 경고했다.
앞서 캄보디아 경찰은 지난 3일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던 근로자들에게 총격을 가했다. 이 과정에서 4명이 숨지고 37명이 다쳤다. 4일에도 무장한 사복경찰이 반정부 시위에 나선 근로자 500여 명을 강제 해산했다.
캄보디아 정부는 7·28 총선 이후 평화적으로 진행되던 시위가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번지자 강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캄보디아 인권단체와 비정부기구(NGO)는 2015년 조기 총선을 요구하는 등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훈센 총리가 이끄는 캄보디아인민당(CPP)이 지난해 부정선거로 승리했기 때문에 총선을 다시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야당 역시 총선 당시 선거인 명부에서 125만명의 유권자 명단이 사라지는 등 부정선거가 실시됐다고 주장하며 총선 재실시와 훈센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이번 시위로 생산에 차질을 빚던 캄보디아 진출 한국 봉제업체들은 정상을 되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섬유협회는 "3일 조업률이 60%까지 떨어졌으나 4일에는 70%의 가동률을 보이는 등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놈펜 공단에는 한국섬유협회 소속 회원사 50여개사와 비회원 업체 10여개사가 입주해 있다.